비밀의 숲 황시목 뇌섬엽 개념 기능 실험 시사

비밀의 숲 황시목 뇌섬엽 개념 기능 실험 시사

비밀의 숲 황시목 뇌섬엽 개념 기능 실험 시사

비밀의 숲 황시목 뇌섬엽 개념 기능 실험 시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드라마 비밀의 숲에 등장하는 황시목 검사는 뇌섬엽의 과도 활성화로 고통을 받다가 수술을 통해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삶을 살아갑니다. 뇌섬엽은 다른 뇌의 부위에 덥혀 보이지 않는 대뇌피질입니다. 고통, 감정, 수치, 기쁨 등의 감정과 도덕적 판단을 관여하는 부위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부위는 인간을 인간답게 보여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현대인들은 각종 경쟁으로 인해 뇌섬엽 부위가 축소되었다고 합니다. 이는 향후 우리의 삶이 배려와 나눔의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시사점을 보여줍니다.


1. 뇌섬엽이란?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에 덥혀 보이지 않는 대뇌피질을 말합니다.

 

2. 뇌섬엽 기능

뇌섬엽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외부 세계 인식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자신을 인식합니다.
  • 사회적 상호작용 가능을 합니다.
  • 어떤 일에 대해 예상 및 예측을 하게 합니다.
  • 상대의 말의 사실 여부를 판단하게 합니다.
  • 감정 및 고통을 느끼게 합니다.
  • 공감, 수치, 죄책감에도 관여합니다.
  • 도덕적 판단에 관여하기 때문에 인간다움을 드러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뇌섬엽 부위 실험

뇌섬엽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학자들이 몇 가지 실험을 했습니다.

명품백 실험

명품백 상품만 보여주었을 때 쾌락 담당 뇌 부위가 활성화 되었습니다.

명품백 가격을 보여주었을 때 고통을 담당하는 뇌섬엽이 활성화 되었습니다.

둘 다 보여주니 전전두엽이 활성화 되었습니다.

이 실험을 통해 뇌섬엽 부위가 고통을 느끼게 하는 부위임을 알 수 있습니다.


도박 실험

정상 16명, 뇌섬엽 손상 31명 환자들에게 룰렛 게임 등 도박을 하게 했습니다.

정상인은 도박사의 오류에 빠졌지만 손상 입은 이들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도박사의 오류란 이번에 따지 못했으니 다음번에는 딸 수 있을 것이라는 확률적 기대를 갖는 것을 말합니다.

이 실험을 통해 뇌섬엽이 도박 중독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으며, 도박 치료를 위해 뇌섬엽 활성화를 억제해야 한다는 것도 보여주었습니다.

위기 순간 어떻게 행동하는지 실험

위기의 순간에서 타인을 구출하는 이와 자기 안전을 우선 시 하는 이들의 뇌 활성화을 관찰하였습니다.

가상 화면을 보여주고 뇌 MRI 촬영을 통해 활성화 부위를 관찰하였습니다.

타인을 구하려는 이들의 뇌섬엽 부위가 그렇지 않은 이들보다 활성화가 많이 되었다는 것을 관찰하였습니다.

이 실험을 통해 뇌섬엽이 활성화 된 이들은 타인을 구하려는, 이타적 행위를 하는 경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4. 뇌섬엽에 대한 기타 사실

명상가들의 뇌섬엽이 일반인들보다 발달했다고 합니다.

현대인들의 뇌섬엽 활성화가 감소되었다고 합니다. 생존을 위한 경쟁으로 자기 중심적 사고 발달, 물질 만능으로 인한 소비 성향 강해졌기 때문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5. 뇌섬엽 연구가 보여주는 시사점

현대인들의 뇌섬엽 활성화 감소가 보여주는 것은 삭막한 인간 관계 및 인간의 삶을 반증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뇌는 경험을 통해 활성화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어린 시절부터 가정과 학교 등에서 공감, 배려, 나눔 등의 긍정적인 도덕적 경험을 하게 되면 뇌섬엽이 활성화 된다고 합니다.

입시위주의 성적 경쟁에서 인간다움을 실현할 수 있는 교육 시스템으로의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6. 드라마 속 뇌섬엽

비밀의 숲

드라마 속 검사 황시목은 뇌섬엽 과다 활성화로 극심한 고통을 느낍니다.

뇌섬엽 일부를 절제하는 수술을 했고,  감정을 상실하고 추리 인지 능력이 발달되는 결과를 보여줍니다.

 

이상으로 뇌섬엽의 개념과 기능, 각종 실험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뇌섬엽 활성화를 통해 보다 더 좋은 사람다운 세상이 실현되기를 소망해 봅니다.